특교정식特敎定式

책별 상세검색
전체검색
문자입력기
검색조건
기사제목
문자입력기
기사내용
문자입력기
대상기간
일 ~
자료 범위
상세검색창 닫기

특교정식 목록



1.50. 禁掘檢[正祖 元年(1777)]
▷ 굴검의 금지
今上元年, 傳曰, “昔我肅祖之敎, 有曰, ‘殺獄之最緊最重者, 莫如檢覆. 間有外方守令, 任意增減, 獄事遷就, 至有數十年不決而瘦死獄中者. 自今以往, 該官必親自開檢, 一從『無冤錄』, 毋或難明於未盡之患.’ 亦惟我寧考之敎, 有曰, ‘檢驗雖不實, 詞證俱備, 則不當追檢. 況已埋者乎. 周文其猶掩骸, 今則至於白骨檢驗, 予則曰, 當之者, 無異再被殺人, 或有不償命001
註 001 원문은 “命”이 없으나『秋官志』에 따라 보완하였다.닫기
者, 殘忍莫甚. 此後殺人而匿埋者, 依例檢驗後, 自官埋置, 其他已埋瘞者, 勿檢.’ 大哉, 聖人之言也. 重民命·恤刑獄之意, 藹然於辭敎之外也.”
傳曰, “先王斯有不忍人之心, 行不忍人之政, 斯其非歟. 予於是三覆百回, 不任莊誦激仰也. 向於賓對, 相臣之奏以爲, ‘自有先朝掘檢之禁令, 京外不敢開檢按驗, 不無幽鬱之慮.’ 予於其時, 只知肅朝之敎, 未詳寧考之敎, 故意以爲然, 詢于廟堂爰及三司, 至又有重臣欲許掘檢, 則今日以前, 當屬令前002
註 002 원문은 “前”이 없으나『秋官志』에 따라 보완하였다.닫기
之對矣. 繼又玉堂, 箚請掘檢, 予意亦以003
註 003 원문은 “以”가 없으나『秋官志』에 따라 보완하였다.닫기
爲然, 擬欲定制而未果者, 出於慮遠之意也. 況當閔旱之日, 其所審恤之道, 尤宜靡不用極. 取見先朝受敎, 則寧考之聖意, 亦只是肅朝之聖意, 而非爲禁掘之敎也. 向者相臣重臣之奏, 與夫玉堂之箚, 亶亦不外是也. 近年京外之不得掘檢者, 特以掌讞之官, 不能詳悉, 欲略於特敎之致. 大抵『無冤錄』掘檢之法, 欲防私和匿埋之弊, 則先朝受敎中, ‘殺人而匿埋者, 依例檢驗’之敎, 豈非肅朝受敎中, 一從『無冤錄』之敎也歟. 今有議者, 或以下句中‘其他已瘞者, 勿檢’之敎爲朝禁, 而此則大不然者, 此則卽指白骨檢驗之謂也. 今則別無申定令甲之事, 一依兩朝受敎, 遵而行之. 至於久遠之掘, 白骨之檢, 藉此申明之日, 爭起互訟, 若有紛競之端, 甚非先王欽恤之本意也. 今日以前已瘞者, 便屬令前, 切勿輕易擧論, 此後又或有年數已久, 可以掘檢者, 亦勿輕自開檢, 必也啓聞後爲之事, 定式施行, 知委京外.”

註 001
원문은 “命”이 없으나『秋官志』에 따라 보완하였다.
註 002
원문은 “前”이 없으나『秋官志』에 따라 보완하였다.
註 003
원문은 “以”가 없으나『秋官志』에 따라 보완하였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