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제1차 헌법개정
sidemenu open/close
hoi cons_002_0020_0030_0020_0020

RG 56, 극동사령부 법무관 오플러 작성, “ROK Constitution and Government” 이미지뷰어 새창

  • 1952년 04월 09일
Prepared by: ALFRED C OPPLER Legal Advisor Government Division G-5 (Civil Affairs) GHQ, FEC/UNC 9 April 1952

ROK CONSTITUTION AND GOVERNMENT

* * * * * * * * * * * * * *


I. HISTORICAL BACKGROUND:

Three nations were dominant in modem diplomatic history as competitors for the control of Korea: China, Russia, and Japan. China had exercised a strong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 upon Korea.
By 1899, following the Sino-Japanese War, China was forced to accept Korea as a full independent state and to renounce all claims stemming from the former loose suzerainty. Subsequently, Russia succeeded in consolidating her economic position in the peninsula. Her efforts to weaken the growing Japanese grip led to the Russo-Japanese War and Russia’s defeat. The Treaty of Porthmouth (1905) gave Japan a free hand in Korea. With the acquiescence of England and the United States, she assumed a protectorate over Korea and within five years had, in spite of the bitter opposition of the Korean people, obtained political control which culminated in the formal annexation and integration in the Japanese Empire with the end of the Korean dynasty in 1910. The Japanese ruled with their usual colonial efficiency, exploitation, and strong police state methods. However, they were never able to win the people over. Independence movements did not cease to exist during the 35 years of Japanese domination.
During World War II, solemn pledges were made by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the Soviet Union, and China that Korea would in due course become free and independent. The Cairo promise of 1943 was confirmed in the Potsdam Declaration. After the surrender of Japan, the peninsula was divided into a Northern and a Southern zone. The 38th parallel, fixed initially for purely Military purposes, assumed fateful significance in separating the two parts of the country politically and administratively and placing them under Military occupation of two different nations allied at first to each other, but subsequently developing mutual hostility of a gigantic scope.
To prevent the 38th parallel from becoming an impassable barrier to the unification of Korea, the Four Big Powers concluded an Agreement in Moscow December 1945, in which a trusteeship of these powers was visualized. It also provided for a Joint American-Soviet Commission to assist in the formation of a provisional Korean democratic government through consultation with “Korean democratic parties and social organizations.” The Commission net in Seoul in March 1946 and, after a number of sessions, adjourned in May without having reached any conclusion. The conferences were taken up after an exchange of communications between Secretary of State Marshall and Foreign Minister Molotov, but broke down again in summer 1947. The main reason for the failure of the Joint Commission was its inability to reach an agreement on the question as to the Korean consultees to be selected. After a proposal of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for a Conference of the Four Powers had been rejected by the USSR, the United States brought the matter up at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which after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whole problem resolved to establish a nine-nation UN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 to be present in Korea and to observe that the Korean representatives who should be consulted were in fact freely elected by the Korean people, that elections should be held not later than March 31, 1948, and that the National Government once established take over from the occupying powers. A proposal of the USSR that the occupying Armies be withdrawn and the Koreans allowed to establish a national government without outside assistance was rejected. The Commission arrived in Seoul in January, 1948. When it sent a communication to the Soviet commander of the Northern zone, he refused to accept it and the Commission was not permitted to function there. Faced with this situation, the Commission consulted the UN Interim Committee and was advised to implement the UN Assembly’s program in those parts of Korea which were accessible to it. Thus, elections to a National Assembly were prepared in South Korea by the US Commander, Lt. Gen. Hodge, under observation of the UN Temporary Commission. They took place on 10 May 1948 with approximately 75 percent of all eligible voters participating. The Commission heard the views of representative Koreans and made a number of recommendations for ensuring an atmosphere of freedom in the elections. Although critical of the conduct of the national police and the bellicose and intolerant youth organizations, the Commission finally adopted a resolution to the effect that “a reasonable degree of free atmosphere wherein the democratic rights of freedom of speech, press, and assembly were recognized and respected” had existed during the elections and that the results of the elections were “a valid expression of the free will of the electorate in those parts of Korea which were accessible to the Commission.”
The elected representatives convened on 31 May and elected as chairman Dr. Syngman Rhee, recognized as the rallying forc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as forceful enemy of Communism. The Assembly proceeded to establish rules of procedure and to organize Committees. Its main initial task was the drafting and discussion of a Constitution for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as adopted with amazing haste on 12 July and promulgated on 17 July.
It should be noted that seats proportionate in number to the population had been left vacant in the Assembly for the later participation of the people of the Northern Zone. However, at almost the same time another government was created under Russian sponsorship in North Korea. Both governments claimed Jurisdiction over the whole country.

II. THE CONSTITUTION OF THE ROK:

The predominant feature of the Constitution is the strong position of the executive branch of the government headed by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With regard to governmental structure, the Constitution follows the American Presidential System. To be sure, the President is elected by the legislature, the National Assembly, for four years, but neither he nor his Ministers need the confidence of the Assembly and must resign in case of a non-confidence vote. The President must not necessarily be a member of the Assembly. On the other hand, different from the new Japanese Constitution and English tradition, the President has no power to dissolve the Assembly which is also elected for a term of four years. The Vice President, who acts for the President if the latter is unable to perform his duty and to whom other responsibilities of importance are assigned, is also elected by the Assembly and his term of office begins and ends simultaneously with that of the President. However, apart from the Prime Minister whom the President can appoint only with the consent of the Assembly, he may choose his Ministers at his free will and may dismiss all of them including the Prime Minister. The latter is merely the “first” minister with the duty to control and supervise the heads of the departments and to take charge of affairs not assigned to any particular department. He and his colleagues are only assistants to the chief executive. The state council acting as a collegiate body, is composed of the President, the Prime Minister, and the other Ministers and shall decide by majority vote on important national policies which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idential powers. However, in the light of the power of the President to remove his Ministers, the possibility of his being overruled in. the Council is merely theoretical.
The President has the usual executive powers, as Commander-in-chief of the Army, with regard to diplomatic relations, appointment and removal of government officials, granting of amnesty and pardon, and bestowing of decorations and honors. He also nay veto legislation. However, his most far-reaching and possibly most dangerous prerogative is the authority to issue emergency decrees if there is no sufficient time for convoking the legislature. He may do so “when in time of civil war, or in a dangerous situation arising from foreign relations, or in case of a natural calamity, or on account of a grave economic or financial crisis it is necessary to take urgent measures for the maintenance of public order and security.” The orders or dispositions of the President under this authority must be reported without delay to the Assembly and lose their effect if the Assembly’s confirmation has not been obtained. This emergency power ominously recalls the notorious Article 48 of the German Constitution in the Weimar Republic, which was abused by Hitler to by-pass the Reichstag and establish his dictatorship. Still, it must be admitted that in the situation of continuous threat from international as well as domestic danger in South Korea, some such extraordinary power of the executive was needed. In addition, the President may proclaim a state of siege.
The legislature is unicameral. The National Assembly is elected by universal, direct, equal and secret votes of the people. It convenes each year for the regular session. In addition, the Speaker shall summon a special session upon request of the President or of not less than one fourth of the members. The Assembly has the right to consent to treaties and to declarations of war against a foreign state. The Prime Minister, ministers and their representatives, may attend the meetings of the Assembly, state their opinion, and answer questions. They must do so if required by the Assembly. The members enjoy immunity and can be expelled only with the concurrence of two thirds of the members durly qualified and seated. Qualified majority is also required for the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the Vice President, ministers, Judges and other public officials determined by law. However, the Impeachment Court which is to render the decision is presided over by the Vice President and composed of five justices of the Supreme Court and five members of the Assembly as associate judges.
As to legislation, bills may be introduced by the members of the Assembly or the government. When enacted, the law shall be promulgated by the President. He has the right to veto it, but may be overruled provided that the Assembly confirms the bill on reconsideration by two thirds of the members present whose number must be at least two thirds of the elected members.
The Constitution is not too explicit about the third branch of the government, the judiciary. It merely states that the judicial power shall be vested in the courts composed of judges and refers to implementing legislation regarding the organization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lower courts as well as the qualification of the judges. The Chief Justice shall be appointed by the President with the consent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tenure of the judges is ten years, but they may be re-appointed. Their independence is emphasized and their status guaranteed. The rule-making power of the Supreme Court is very limited. Most important of all, the courts have power of judicial review only over administrative orders, regulations, and dispositions, but not over legislation. Determin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a statute is vested in a special Constitution Committee consisting of the Vice President as chairman, five members of the Supreme Court, and fiv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 decision holding a law unconstitutional requires a two third majority. It can easily be seen that this arrangement will make the invalidation of a law on constitutional grounds an exceptional event.
The two Articles dealing with local autonomous organizations do not guarantee any true local autonomy and do not make election mandatory, but refer to subsequent legislation on the subject. A Local Autonomy Law was promulgated on 4 July 1949. As yet, no election has been held under it, largely due to the present war. The law falls short of placing full self-government in the hands of the people. Provincial governors and the mayor of Seoul will continue to be appointed. Elections Under the Law have been announced for 25 April for cities, towns, and townships, while elections for provincial assemblies are plann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autonomous organizations on the lower levels.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se elections will be the stepping stone to the development of a democratic self-government in the local entities remains to be seen.
Following the example of all modern Constitutions, the ROK instrument includes a Bill of Rights. The usual fundamental human rights are listed, such as equality before the law, freedom of religion and conscience, and certain safeguards in criminal procedure. However, most of these guarantees are seriously weakened, if not emasculated, by the modifying phrase “within the limits of the law”, similar in that respect to the guarantees of civil liberties in the Japanese Meiji Constitution, Consequently, any of them can be abridged by legislation so that the protection is granted only from administrative encroachment. This is particularly true of the freedom of speech, press, assembly and association as well as of the right of labor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collective action. In the criminal process certain safeguards considered essential to a humanized law enforcement system are absent, for instance, prohibition of torture, which would have been particularly necessary in Korea, exclusion of confessions as evidence if they are the only proof of guilt, and a provision that nobody can be compelled to incriminate himself.
Finally, a Chapter on “Economy” is of particular interest because it envisages a considerable extent of state socialism or statism. Mines and other important mineral resources, water power and natural powers which may be utilized economically shall be owned by the State, which night for a limited period grant licenses to private persons. Furthermore, to meet urgent necessities of national life, private enterprises shall be transferred to state or public ownership, or their management shall be placed under control or supervision of the state or juridical persons of public law.
In connection with the Constitution, a Government Organization Law was enacted which established the necessary administrative agencies including departments or ministries, boards, offices and committees. There are at present thirteen departments, without the Prime Minister’s Office. In addition, certain agencies are under his Jurisdiction. I may mention the Office of General Administration in charge of problem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 Office of Public Information in charge of proclamation of laws and ordinances, public information, propaganda, statistics, printing, and copyrights, the Office of Legislation in charge of drafting and analyzing proposed bills and ordinances, the Planning Office, in charge of over-all planning on financial and economic affairs, industry, raw materials, price of commodities, preparation of the budget, and also civil assistance requirements, Office of Supply, in charge of receiving, warehousing, and distributing CRIK supplies, and the Office of Property Custody which plays a significant roll in connection with the former Japanese vested property. There are finally the Civil Service Commission, the Inspection Commission, and the Board of Audit, directly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President.

III. RECENT DEVELOPMENTS:

Since the Constitution provided that the National Assembly, which enacted it, should continue as legislature for two years, the new elections took place on 30 May 1950. President Rhee’s supporters won only a Minority of the seats. The new Assembly met for the first time on 19 June 1950. As a result of the invasion, it was forced to move from Seoul to other locations, returned in October 1950, but had to leave again. The Assembly now continues to meet in Pusan. Its legislative activity has been intensive. Sixty bills were enacted into law, ten Presidential emergency decrees confirmed, and over 100 resolutions adopted. The laws enacted relate mainly to taxation, the financing of war expenditure, and security matters.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providing judicial procedure for the challenge of administrative acts is worthy of special mention.
Recently, a controversy arose as the President favors two constitutional amendments to which the Assembly is bitterly opposed: First, he wants direct elections by the people for the office of President, instead of the elections by the Assembly, and second, he desires to replace the unicameral by a bicameral system of legislature. Dissatisfied with the attitude of some of the solons, Rhee went so far as to threaten their recall, which indicates, to say the least, a cheerful disregard of the Constitution. No such right of expulsion or recall exists outside the Assembly itself. Certain efforts of the Assembly to exercise parliamentary control over the policies and actions of the executive have been noted in a Report of UNCURK, dated 5 September 1951. According to this Report, the Assembly during 1951 completed an extensive investigation into the functioning of the national administrative structure, watched carefully to see that the emergency powers be not abused by the President, brought abort the lifting of martial law in most of the territory, and insisted that the right of military courts to try civilians be limited.
A genuine system of political parties has not yet developed. There are at present five registered Parties, all of which have a nationalist approach and are opposed to communism. Otherwise, their respective arms and policies are not well defined and distinctions are not easily discernible in their platforms. There are also “patriotic organizations” which, although not officially affiliated with political parties, exert considerable political influence. The most important are the Great Korea Youth Corps and the National Society, which enjoy Government backing. The very militant Youth Organizations apparently serve as a kind of protective guard for the Government and occasionally use semi-terroristic methods of controlling and intimidating the people. Leftist and Communist groups are working underground and as guerrilla fighters.

IV. EVALUATION:

The Constitution and the Government of the ROK bear the impression of the personality of Syngman Rhee, who was elected its first President. While the Constitution is based on Western principles, it has serious weaknesses according to our own democratic standards. The power of the Chief Executive appears too excessive, fundamental human rights are not fully protected, there is no adequate judicial review of legislation, and local autonomy is not sufficiently guaranteed. As the situation is at present,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have not yet been implemented in the whole body of the law and are not much more than high-sounding standards for the guidance of the legislature. The tremendous difference from Japan is evident. The laws of both countries were identical in 1945. The codification, dating back to the Meiji Restoration, included the Civil, Commercial and Criminal Codes, Procedural Codes, and Court Organization Law, all of them following the German and French models of the later part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looking at it from the continental point of view of that period, fairly advanced. However, they have many elements irreconcilable with the American-influenced modern Constitutions of both Korea and Japan. While in Japan a sweeping reform of these Codes has been carried out to implement the Constitution and fill it with life arid blood, no such fundamental changes have been made in Korea where, generally speaking, the legal system remained in the same condition as we found the Japanese legal system when the Occupation began.
More important than the written Constitution and laws, however, are the spirit and method of their application, which depend on the attitude of the rulers. The ROK has been called a totalitarian state, a dictatorship, and a police state. There is some justification for all these epithets, but based as they are on Western concepts, they are inappropriate to Korea. The central figure in her government is Dr. Syngman Rhee. He spent some 40 years in exile, mostly in the United States, where he devoted himself unceasingly to the cause of Korean independence. To the Korean people he is a legendary symbol of their independence and he enjoys the confidence of the overwhelming majority among them. However, he is now a man of 77 years, who at times shows his age in periods of senility and of emotional outburst. He is an extreme authoritarian and nationalist who rules the executive branch of the government with an iron hand and resents any effort on the part of foreigners to influence his government. This attitude originates in his national pride and the sensitivity of a long suppressed nation. In our contacts with most Koreans, we find these traits being a continuous handicap. It has been mentioned, on the other hand, that Rhee does not control the present legislature. Still, the tension between the two branches of the government is not so much based on differences in principles, but caused by personal intrigues and rivalries of ambitious politicians.
The Korean police having learned all the vices of the Japanese police while lacking their virtues, are arbitrary and brutal as well as corrupt. The use of third degree methods and lengthy detentions are a well known concomitant of their investigating methods. The police is also used for political purposes.
Corruption is, however, not limited to the police but extends to other officials of the government, whether high or low ranking. This characteristic has a long history in a country where politics meant advancing one’s own interest. Since the volume of supplies and funds under the control of the government is greater than ever dreamed, the opportunities for private enrichment are correspondingly increased.
Another indisputable fact is that the Korean Government is inefficient. There are a number of reasons for this situation. Perhaps most important is the influence of Japanese policy. Korea became a Japanese colony in 1910 and remained a colony for 35 years. In that period Koreans were systematically excluded from positions of responsibility, either public or private. The few who did achieve a degree of eminence were all stigmatized as Japanese puppets and were ostracized by the Koreans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Following the liberation, the Government fell into the hands of a group of political exiles, one of whom is now President, and many others of whom hold important administrative positions. None of these men had had any experience in the administration of large-scale affairs. They had been political agitators, who succeeded by virtue of events beyond their control. While some of them are men of considerable intellectual stature, they are generally deficient in executive and in administrative ability. There are other elements in the situation,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has a long history of administrative weakness prior to the period of Japanese domination. It has long been plagued by the pernicious influence of cliques. Under the Lee Dynasty prior to 1895. the Government was a matter of palace intrigue between rival factions, in the ancient oriental tradition.
Fairness, however, requires the recognition that the young Republic, before it was properly established after a long foreign domination, was put to a formidable test of political and economic difficulties culminating in the full-scale armed invasion of the country, which at times saw itself threatened with extinction. War and devastation struck the nation and most of the territory has been a battlefield at one time or another. A large number of Koreans lost their lives; entire communities have been wiped out and others largely destroyed. Transport and communication were disrupted, the central government had to move, and large numbers of refugees blocked the roads. All these and many other problems had to be solved by an unprepared and unexperienced government. The fact remains that despite difficulties and confusion the governmental apparatus did not disintegrate and that the civil administration was quickly re-established as districts were liberated from enemy occupation. UNCURK in the aforementioned report arrives at the somewhat optimistic conclusion that Korea will, when hostilities have ended, with slowly acquired experience in administration, with international assistance, and through the painful process of trial and error continue to develop the institutions of democracy.
However that may be, and whether or not we agree with this evaluation, in the existing international situation our own national interest is irretrievably tied up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tiny and imperfect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has been her parent, or, to say the least, the midwife at her birth and has since kept her alive with tremendous effort. To abandon her would mean a terrific loss of face in Asia, where face counts more than in other parts of the world. We cannot afford such loss. The Korean Government knows this very well and takes our support and sacrifices for granted, without showing the degree of cooperation desirable for the achievement of the common goal.
유엔군사령부 민정참모부(G-5, Civil Affairs) 대(對)정부국(Government Division) 법률고문 알프레드 오플러(Alfred C. Oppler)
1952년 4월 9일

한국의 헌법과 정부

1. 역사적 배경:
근대 외교사에서 한국을 장악하기 위해 경쟁했던 국가들 중 독보적이었던 것은 다음 셋이다. 중국, 러시아, 그리고 일본. 이 가운데 중국은 한국에 대한 강력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청일전쟁 후 1899년, 중국은 한국을 독립국으로 인정할 것과 이전의 느슨한 종주권에 토대를 둔 모든 권리를 포기할 것을 강요받았다. 이후 러시아가 계승하여 한반도에서 자국의 경제적 위치를 강화하였다. 일본의 관여가 점증하는 것을 막기 위한 러시아의 노력은 러일전쟁의 발발을 야기했고, 러시아가 패배했다. 포츠머스조약(1905)으로 일본은 조선을 제약 없이 주무를 수 있게 되었다. 영국과 미국의 묵인 하에 일본은 조선을 보호국으로 삼았다. 조선인들의 격렬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5년 만인 1910년, 일본제국은 조선왕조를 멸망시키고 한국을 공식적으로 병합하고, 정치적 통제권을 획득했다. 일본은 식민지적 효율 추구와 착취, 그리고 강력한 경찰국가라는 방식으로 한국을 지배했다. 그러나 그들은 결코 한국인들을 동화시킬 수는 없었다. 일본의 지배를 받던 35년간, 독립운동은 끊임없이 이어졌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미국·영국·소련, 그리고 중국 사이에 적절한 시기에 한국을 독립시킨다는 엄숙한 선언이 이루어졌다. 1943년 카이로에서 한 약속은 포츠담선언에서 확인되었다. 일본의 항복 후 한반도는 남북으로 분할되었다. 애초 순전히 군사적 목적에서 설정되었던 38도선은 정치·행정적으로 한반도를 둘로 분할하고 서로 다른 두 국가의 군정 통치를 받게 하는 결정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군정 당사자인 미소는 애초 연합국이었지만 이후 세계적 차원에서 이들의 상호 적대가 고조되었다.
38도선이 한국의 통일을 불가능하게 하는 장벽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1945년 12월, 4강대국은 모스크바협정을 체결하였다. 이 협정에서 이들의 신탁통치가 가시화되었다. 모스크바협정은 또한 “조선의 민주정당 및 사회단체”와의 협의를 통해 조선임시민주정부의 수립에 협조할 미소공동위원회를 규정하였다. 1946년 3월 서울에서 미소공위가 개최되었지만, 몇 차례의 회의 끝에 동년 5월, 어떤 결론에도 도달하지 못한 채 중단되었다. 미소공위는 미국 국무부장관 마셜과 소련 외무부장관 몰로토프 사이에 통신이 오고간 후에 재개되었다. 그러나 1947년 여름 다시 결렬되었다. 한국인 자문들을 선정하는 문제에 대해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것이 미소공동위가 실패한 중요한 이유였다. 미국의 4대국 회담 제안이 소련에 의해 거절된 후, 미국은 이 문제를 유엔총회로 가져갔다. 유엔은 전체 문제를 신중히 검토한 후 9개국으로 구성된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을 한국에 보내 자유선거를 통한 한국인 대표(국회의원) 선출과정을 감시케 할 것을 결의했다. 또 1948년 3월 31일 이전에 선거를 치러야 하며 그에 따라 한국인들의 정부가 수립되면 점령국들로부터 권력을 이전 받아야 한다고 결의했다. 점령군들이 철수하고 한국인들이 외부 도움 없이 국민정부를 수립하도록 해야 한다는 소련의 제안은 기각되었다.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은 1948년 1월, 서울에 도착했다. 위원단이 북한의 소련 사령관에게 통신문을 보냈지만 그는 통신문 접수를 거절했고 위원단이 북한에서 활동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위원단은 유엔임시위원회(UN Interim Committee)와 상의하였고, 접근 가능한 지역에서 유엔총회의 결의를 수행하라는 권고를 받았다. 그에 따라 위원단 감시 하 미군사령관 하지 장군이 남한의 총선거를 준비했다. 위원단은 한국인 대표들의 견해를 듣고 자유로운 선거 분위기가 보장되도록 몇 가지 사항을 권유하기도 하였다. 경찰과 호전적이고 참을성 없는 청년단체들의 행동에 대한 비판이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위원단은 마침내 선거 기간 중 “납득할 만한 정도의 자유로운 분위기 아래 언론·출판의 자유, 그리고 집회에 대한 민주주의적이고 자유로운 권리가 승인 및 존중”되었으며 선거 결과는 “위원단이 접근할 수 있는 한국 지역에서 유권자들의 자유로운 의사의 적절한 표현”이었다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선출된 국회의원들은 5월 31일에 소집되었고, 국회의장으로 이승만 박사를 지명하였다. 이승만은 독립운동의 집결체이자 강력한 반공주의자로 여겨졌다. 국회는 절차상의 규칙을 제정하고 각 위원회를 조직해나갔다. 그 중요한 첫 번째 과제는 대한민국의 헌법을 기초하고 토론하는 것이었다. 헌법은 7월 12일에 신속하게 채택하였고, 7월 17일 공포되었다.
주의할 점은 인구비례 의석에서 추후 북한 주민들의 참여 분을 공석으로 비워두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거의 동시에 북한에서도 소련의 지원 하에 또 다른 정부가 수립되었다. 두 정부는 서로가 한반도 전체를 아우르는 관할권을 갖는다고 주장했다.
Ⅱ. 한국의 헌법(Constitution of the R.O.K.)
헌법의 두드러진 특징은 대통령을 수장으로 하는 행정부가 강력한 힘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 구조면에서는 미국의 대통령제를 따랐다. 확실히 대통령은 국회에서 선출되고, 국회는 4년제이다. 그렇지만 대통령이나 각부 장관들은 국회의 신임을 받을 필요가 없고 국회가 불신임하는 경우에도 사퇴하지 않는다. 대통령이 반드시 국회의원 중에서 선출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다른 한편, 일본의 신(평화)헌법 및 영국의 경우와 차이점은 대통령도 4년 임기로 선출된 국회를 해산권이 없다는 점이다. 대통령이 그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대행이자 기타 중요한 책무를 맡는 부통령도 국회에서 선출된다. 부통령의 임기기간은 대통령의 그것과 시작과 끝을 같이한다. 그러나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단지 임명하기만 하는 국무총리와 달리 부통령은 자유의사로 장관들을 선택하고 국무총리를 포함한 그들 전부를 해임시킬 수도 있다. 국무총리는 단지 각부 장관을 통제 및 감독하는 의무를 지닌 “첫 번째” 각료이며, 어떤 특정한 부에 소속되어 업무를 맡지는 않는다. 그와 그의 동료들은 단지 최고 통치권자의 조력자일 뿐이다. 합의체로 기능하는 국무위원회(state council)는 대통령과 국무총리, 그리고 각부 장관들로 구성되며, 대통령의 권한 범위 안에서 다룰 수 있는 중요한 국가정책들을 다수결투표로 결정한다. 그러나 대통령이 장관들을 사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국무위원회에서 대통령 의견이 기각될 가능성은 순전히 이론적으로만 존재한다.
대통령은 군 통수권자로서 대외관계, 정부관료 임면, 사면권 및 훈장 수여권한과 함께 일반적인 행정권한을 지니고 있다. 그는 또한 국회 입법을 거부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가 가진 가장 초월적이며 위험할 수 있는 특권은 국회를 소집할 충분한 시간이 없을 경우 긴급명령을 발동할 수 있는 권한이다. “내전의 경우, 또는 대외관계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또는 자연재해나 경제 및 재정상 중대한 위기로 인해 공공의 질서와 안전을 회복할 긴급한 수단이 필요하다고 간주될 때” 그렇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권한 하에서 대통령의 명령 또는 처분은 반드시 지체 없이 국회에 보고되어야 하며 국회에서 이를 동의해주지 않는다면 효력을 상실한다. 이러한 긴급권한은 분명 악명 높은 바이마르공화국 시기 독일헌법 제48조를 생각나게 한다. 그 조항은 히틀러가 독일제국회의를 옆으로 제쳐두고 독재체제를 확립하는 데 남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국내적 위협만큼 국제적으로도 위협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그 같은 행정부의 다소간 예외적인 권한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덧붙여 대통령은 계엄 상태를 선포할 수 있다.
입법부는 단원제이다. 국회의원은 국민의 직접·평등·비밀투표로 선출된다. 매년 정규 회기가 있다. 또 의장이 대통령의 요청이나 국회의원 1/4 이상의 요청에 따라 임시국회를 소집할 수 있다. 국회는 조약과 외국에 대한 전쟁 선포를 승인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 국무총리와 각부 장관은 국회에 출석해 그들의 의견을 진술하고, 질문에 답변할 수 있다. 국회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한다. 국회의원들은 면책특권을 누리며, 그것은 재적의원 2/3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만 박탈된다. 다수의 국회의원은 법률에 따라 대통령·부통령·장관·판사 및 기타 공무원들에 대한 탄핵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결정을 내릴 탄핵법정은 부통령이 주재하며, 대법원 법관 5명과 배석판사로서 국회의원 5명으로 구성된다.
입법의 경우 국회 또는 행정부가 법안을 제출할 수 있다. 법안이 통과되면, 대통령이 공포한다. 대통령은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그러나 국회가 정원의 2/3 이상 출석해 2/3 이상으로 법안을 재차 채택하면 거부권은 기각된다.
헌법은 세 번째 정부조직인 사법부에 대해서는 그렇게 엄밀하게 규정하지 않았다. 사법권은 판사로 구성된 법정에 귀속될 것이라고 규정하고, 판사의 자격조건과 대법원 및 하급법원의 조직에 관한 법률 제정을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 대법원장은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한다. 판사의 임기는 10년이지만 재임용될 수 있다. 그들의 독립성이 강조되며 그들의 신분이 보장된다. 규칙을 만드는 대법원의 권력은 매우 제한적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법원은 행정부의 명령(administrative orders), 법규(regulations), 그리고 처분(dispositions)에 대해서는 사법검토권한을 지니지만 법률(legislation)에는 권한이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다. 법령(status)의 합헌 여부에 대한 결정은 부통령을 의장으로 하고, 대법관과 국회의원 각 5명으로 구성된 헌법특별위원회(special Constitution Committee)에 귀속된다. 위헌결정은 전체 2/3의 결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어떤 법에 대한 헌법상 위헌 판정이 예외적인 일이 될 것이라는 점은 어렵지 않게 예상할 수 있다.
지방자치기구에 관한 두 조항들은 어떤 것도 진정한 지방자치를 보장하거나 선거 의무를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이 문제에 대한 후속 입법을 언급하고 있다. 지방자치법은 1949년 7월 4일 공포되었다. 그러나 아직 그 법에 따른 선거는 치러지지 않았다. 주된 이유는 현하의 전쟁 때문이다. 법은 국민들에게 충분한 자치행정을 부여하지 않았다. 도지사와 서울 시장은 임명될 것이다. 이 법에 따른 시·군·읍 선거는 4월 25일에 치러질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다만 지방의회선거는 낮은 수준에서 자치기구들이 확립된 후에 치러질 계획이다. 이 선거들이 지역 단위에서 민주적인 자치행정을 확립해가는 초석이 될 수 있을지, 된다면 어느 정도까지 그럴 수 있을 것인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다.
모든 근대 헌법들의 사례를 따라 한국 헌법도 권리장전을 포함한다. 법 앞의 평등, 종교 및 양심의 자유, 형사절차상의 몇몇 보호 장치 등 보편적이고 핵심적인 인권들이 열거되었다. 그러나 이들 보호 장치의 대부분은 “법의 한계 내에서”라는, 일본 메이지헌법의 시민 자유 보호에 관한 규정과 비슷한 문구로 인해 무력하다고 할 정도는 아니더라도 대단히 취약하다. 때문에 이상의 인권 보호 장치 어느 것도 법률로 제약될 수 있으며, 보호 장치란 단지 행정상의 침해만 막을 수 있을 뿐이다. 이것이 특히 노동자들의 단체교섭 및 단체행동권은 물론 연설·언론·집회 그리고 결사의 자유 부문에서 그러하다. 예를 들어, 형사소송 과정에서 법 집행시스템에 인도적 성격을 부여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고문 금지와 같은 보호 장치들이 결여되어 있다. 특히 한국에서 필요한 규정일지 모르는 고문 금지는 유죄 입증의 유일한 증거가 고문일 경우 자백을 증거에서 배제하는 것, 그리고 누구로부터도 유죄 자백을 강요받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경제” 부분은 상당한 정도의 국가사회주의 또는 국가통제주의를 표방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주목을 끈다. 석탄과 기타 중요 광물자원,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력 및 천연자원은 국가가 소유하며, 국가는 일정 기간 민간에 면허를 허가할 수 있다. 또 국민의 긴급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민간 기업체를 국공유로 전환하거나 그 운용을 국가 또는 공법상 법인의 통제·감독 아래 둘 수 있다.
헌법과 관련해서 정부조직법에 의해 부(department), 처(ministries), 이사회(boards), 사무처(offices) 및 위원회(committee)[역주 : 행정기관의 종류와 명칭은 원·부·처·청 또는 위원회로 하고 그 보조기관의 종류와 명칭은 비서실·국·과로 한다.] 등을 갖춘 행정 부처들이 필요에 따라 조직되었다. 국무총리실을 제외하고, 현재 13개의 부가 있다. 덧붙여 몇몇 기관들이 그 관할 하에 있다. 다음과 같은 조직들이다. 행정조직 문제를 담당하는 총무처(Office of General Administration), 법률과 법령, 공보·선전·통계·출판·저작권 등을 담당하는 공보처(Office of Public Information), 제안된 법률과 법령의 기초작업 및 분석을 담당하는 법제처(Office of Legislation)[역주 : 1948년 7월 17일 법률 제 1호에 의하면 법제처, 1949년 3월 25일에 의하면 법제처, 1955년 2월 7일 법에 의하면 심계원 정도가 적합함. 단 공보부 역시 공보처-공보처-공보실의 단계를 밟았음.], 산업·천연자원·상품가격·예산준비·민간원조 요청 등 금융 및 경제 전반에 관한 계획을 담당하는 기획처(Planning Office), 물자 수령과 CRIK 원조물자 분배를 담당하는 조달청(Office of Supply), 구 일본인 귀속재산에 관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관재청(Office of Property Custody). 마지막으로 대통령이 직접 감독하는 고시(考試)위원회(the Civil Service Commission), 감찰위원회(the Inspection Commission), 심계원(the Board of Audit)이 있다.
Ⅲ. 최근의 양상 :
헌법에서 제헌국회의 임기를 2년으로 규정했기 때문에 1950년 5월 30일 제2대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이승만 대통령 지지자들은 소수 의석을 얻는 데 그쳤다. 1950년 6월 19일 제2대 국회가 개원하였다. 그러나 북한의 남침으로 국회는 서울을 떠나야 했고, 1950년 10월에 돌아왔지만 한 번 더 떠나야 했다. 현재 국회는 부산에서 열리고 있다. 국회는 매우 활발한 입법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60개 법안들이 제정되었고, 10건의 대통령 긴급명령을 승인했으며, 100개가 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주로 세금과 전비 지출, 안보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행정행위 기피에 대한 사법절차를 규정한 행정소송법(administrative litigation Law)은 특별히 주목할 만하다.
최근 대통령이 국회가 강력히 반대하는 두 가지 헌법 개정안을 들고 나오면서 논쟁이 제기되었다. 첫째, 대통령은 대통령을 국회에서 선출하는 것이 아닌 국민이 직접 선거하길 원한다. 둘째, 그는 국회 단원제를 양원제로 바꾸고 싶어 한다. 이승만은 일부 국회의원들의 태도에 불만을 품고, 국회의원 소환으로 협박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이는 아무리 좋게 이야기해도, 헌법을 경시하는 것이다. 그러한 제명 또는 소환의 권리는 국회 자신만 갖고 있다. 국회가 의원내각제적 체제로 행정부 정책과 조치를 통제하고자 했던 일련의 노력들은 1951년 9월 5일자 UNCURK 보고서에 언급되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1951년 중 국회는 국가행정구조의 기능에 대한 집중적인 조사를 완수하였고, 대통령이 비상시 권력을 남용하지 않도록 신중히 주시하였다. 또 대부분의 지역에서 계엄령 해제를 가져오도록 했으며, 민간인을 군사법정에 세우는 권한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진정한 정당체제는 아직 갖추어지지 못했다. 현재 등록된 정당은 다섯인데, 이들 모두는 민족주의 경향을 띠고, 공산주의에 반대한다. 반면 그들 각자의 목표와 정책들은 잘 정의되거나 구분되지 않아서 그들의 정강만으로는 쉽게 구분되지 않는다. 또 “애국단체들”이 있는데, 이들은 공식적으로는 정당과 연결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단체는 대한청년단(Great Korea Youth Corps) 과 국민회(National Society)로 이들은 정부의 후원을 받고 있다. 군사적 성격이 매우 강한 청년단체들은 명백히 일종의 행정부 보디가드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때때로 국민을 통제하고 위협하는 반(半)테러적 방법을 사용한다. 좌익과 공산주의자 그룹들은 지하에서 유격대원들처럼 활동한다.
Ⅳ. 평가
대한민국의 헌법과 행정부는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던 이승만의 개성이라는 인상을 담고 있다. 헌법은 서구의 원칙들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우리 고유의 민주주의적인 기준에 관해서는 심각할 정도로 허약하다. 최고 정치수반의 권력이 지나치게 비대하며, 기본적인 인권은 충분히 보호되지 못한다. 입법에 대한 충분한 법률적 검토가 없으며, 지방자치는 충분히 보장받고 있지 않다.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헌법의 원칙들은 법 전반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으며 입법에 관한 거창한 기준 이상은 아닌 형편이다. 일본과 비교해 엄청난 차이가 명백하다. 1945년, 양국의 법률은 똑같았다. 법전의 편찬은 메이지 시대로 거슬러간다. 민법·상법·형법·형사소송법, 그리고 법원조직법까지 이들 모두는 19세기 후반의 독일 및 프랑스 모델을 따른 것으로, 그 시대 대륙법의 관점에서 보자면 상당히 진보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1945년 이후 미국의 영향을 한일 양국의 오늘날 헌법과는 불일치하는 부분이 많다. 일본에서는 새로운 헌법에 생명을 불어넣고 그것을 실시하기 위해 이러한 법전들에 대한 전면적인 개혁이 있었지만, 한국에서는 그와 같은 근본적인 변화가 없었다. 거칠게 말하자면, 한국의 법률 체제는 점령 초기에 발견했던 일본의 법률 체제 그대로이다.
성문 헌법과 법률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 정신과 적용방법인데, 이는 통치자들의 태도에 달려 있다. 한국은 전체주의 국가, 독재정권, 그리고 경찰국가로 불려왔다. 이 모든 별명에는 나름의 정당한 이유가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개념들은 기본적으로 서구의 개념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에, 한국에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행정부의 중심인물은 이승만 박사이다. 그는 약 40여 년을 대부분 미국에서 망명생활로 보냈으며, 한국 독립을 위해 끊임없이 헌신했다. 그는 한국국민들에게 독립의 전설적인 상징이며 국민 다수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는다. 그러나 그는 현재 77살이며, 그것은 때때로 노망과 감정폭발의 나이임을 보여준다. 그는 행정부처들을 엄격하게 지배하며 외국인이 자신의 정부에 영향을 끼치려는 시도에 분개하는 극단적인 권위주의자이자 민족주의자이다. 이러한 태도는 그가 가진 민족적 자부심이자 오랫동안 억눌렸던 민족으로서의 예민함에서 연유한다. 우리가 만나본 대부분의 한국인들에게서 이러한 기질이 끊임없는 핸디캡으로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른 한편, 이미 언급하였지만 이승만은 현재 입법부를 통제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정과 입법, 두 국가기관 사이에 긴장감이 있는 것은 원칙상의 차이점 때문이라기보다는 야망이 넘치는 정치인들의 개인적 책략과 경쟁에서 기인하는 바일 것이다.
한국경찰은 일본경찰의 장점은 빼놓은 채 온갖 악덕만을 배웠던 관계로 부패한 것은 물론 전횡을 일삼고 악랄하다. 고문과 긴 감금기간은 그들의 조사 방식에 부수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경찰은 또 정치적 목적에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부패는 경찰에게만 한정되지 않으며 행정부 다른 부처 공무원들에게도 확산되었다. 이는 지위의 높고 낮음과 상관이 없다. 이러한 양상은 정치가 곧 자신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것을 의미했던 국가들에서 역사적으로 오래된 특징이다. 정부 통제 하에 있는 물자와 자금의 양이 그 어느 때보다도 많기에 사재를 축적할 기회는 상대적으로 늘어났다.
논란의 여지가 없는 또 다른 사실은 한국정부가 비효율적이라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점은 일본 통치의 영향일 것이다. 한국은 1910년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고 그것은 35년간 이어졌다. 그 시기에 한국인들은 공사를 막론한 책임감 있는 지위에서 구조적으로 배제되었다. 어느 정도 명망을 얻은 극히 소수의 인물들은 모두 일본의 앞잡이로 활동했다는 낙인이 찍혔고 1945년 해방 이후 한국인들에 의해 배척 되었다. 해방 이후 정부는 한 무리의 망명 정치인들의 손에 떨어졌다. 그 중의 한 명이 현재의 대통령이며, 다른 많은 이들은 정부의 요직을 차지했다. 이들 중 어느 누구도 큰 규모의 공무를 맡아본 경험이 없었다. 그들은 정치적 선동가로, 그들 자신의 통제 밖의 사건들 덕택에 그 자리에 나아갈 수 있었던 인물들이다. 그들 중 몇몇은 상당한 수준의 지적 역량을 갖추었지만, 대체적으로는 행정 및 관리 능력이 부족하다. 그렇지만 이런 상황의 원인에는 다른 요소들도 있다. 일본의 지배를 받기 전에도, 한국의 정부는 오랜 기간 미약한 행정능력의 역사를 겪어왔다. 또 오랫동안 악성 파벌의 영향으로 고통 받아왔다. 1895년 이전 조선왕조 시기의 정부(조정)라는 곳은 동양의 오랜 전통이 그러하듯, 경쟁하는 파벌 간의 간계가 벌어지던 장소였다.
그러나 이 신생 공화국이 외국의 오랜 지배로부터 벗어나 적절한 틀을 갖추기 전에 완전무장 침략이라는 엄청난 정치경제적 난관에 봉착했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당시 그 침략은 국가 멸망을 위협케 하는 것이었다. 전쟁과 폐허가 국민들에게 밀어닥쳤으며, 영토의 대부분은 한 차례 또는 여러 차례에 걸쳐 전쟁터가 되었다. 많은 한국인들이 그들의 삶을 상실했다. 공동체 전체가 뿌리 뽑혔고 다른 곳들도 크게 파괴되었다. 운송과 통신 시스템이 붕괴되었으며, 중앙정부는 이전해야 했고, 엄청난 수의 피난민들이 길을 가득 채웠다. 준비되지 않고 경험 없는 정부가 이 모든 그리고 다른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야 했던 것이다. 하지만 남아있는 사실은 정부기관의 어려움과 혼란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해체되지 않았고, 적의 점령으로부터 해방된 지역들에서는 민간행정체제가 신속히 복구되었다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했던 UNCURK의 보고서는 한국에서 적대적인 상황이 끝나고, 행정 경험을 서서히 획득하며, 국제적인 원조가 있다면, 한국은 시행착오의 쓰디쓴 과정을 거쳐 민주정치체제로서 발전을 계속할 것이라는 다소간 긍정적인 결론에 도달했다.
그러나 그렇게 될지, 그리고 이러한 평가에 동의하는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현존하는 국제적인 상황에서 우리 미국의 이익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작고 불완전한 대한민국이라는 존재와 긴밀하게 엮여 있다. 미국은 이들의 부모 또는 최소한 이들의 산파로서 국가의 탄생부터 막대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한국을 포기하는 것은 세계의 다른 어떤 곳을 상실할 경우보다 충격이 더 큰, 아시아에서의 끔찍한 손실이 될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손실을 감당할 수 없다. 한국정부는 이를 매우 잘 알고 있으며,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협력하는 것 없이, 우리의 지지와 희생을 당연시하고 있다.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