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책별 상세검색
전체검색
문자입력기
검색조건
기사제목
문자입력기
기사내용
문자입력기
대상기간
일 ~
자료 범위
상세검색창 닫기

국조오례의서례 목록



雅部樂章軒架無詞, 登歌有詞。
黃鐘宮黃南林姑 太姑南林 應南蕤姑 南林黃太 黃南太黃 應南黃姑 太黃南林 南姑太黃
大呂宮大無夷仲 夾仲無夷 潢無林仲 無夷大夾 大無夾大 潢無大仲 夾大無夷 無仲夾大
太簇宮太應南蕤 姑蕤應南 汏001
註 001 대(汏): 저본에는 태(汰)로 되어 있으나 태주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반음 아래 음인 汏로 교정한다.닫기
應夷蕤 應南太姑 太應姑太 汏002
註 002 대(汏): 註 001과 같다.닫기
應太蕤 姑太應南 應蕤姑太
夾鍾宮夾潢無林 仲林潢無 汰潢南林 潢無夾仲 夾潢仲夾 汰潢夾林 仲夾潢無 潢林仲夾
姑洗宮姑汏003
註 003 대(汏): 註 001과 같다.닫기
應夷 蕤夷汏004
註 004 대(汏): 註 001과 같다. 이하 고선궁(姑洗宮) 선율에 나오는 태(汰)는 모두 그보다 반음 아래 음인 대(汏)로 교정한다.닫기
應 浹汏無夷 汏應姑蕤 姑汏蕤姑 浹汏姑夷 蕤姑汏應 汏夷蕤姑
仲呂宮仲汰潢南 林南汰潢 姑汰應南 汰潢仲林 仲汰林仲 姑汰仲南 林仲汰潢 汰南林仲
蕤賓宮蕤浹汏005
註 005 대(汏): 저본에는 태(汰)로 되어 있으나 유빈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반음 아래 음인 대(汏)로 교정한다. 이하 유빈궁 선율에 보이는 태는 모두 대로 교정한다.닫기
無 夷無浹汏 仲浹潢無 浹汏蕤夷 蕤浹夷蕤 仲浹蕤無 夷蕤浹汏 浹無夷蕤
林鍾宮林姑汰應 南應姑汰 蕤姑汏006
註 006 대(汏): 저본에는 태(汰)로 되어 있으나 임종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대(汏)로 교정한다.닫기
應 姑汰林南 林姑南林 蕤姑林應 南林姑汰 姑應南林
夷則宮夷仲浹潢 無潢仲浹 林仲汰潢 仲浹夷無 夷仲無夷 林仲夷潢 無夷仲浹 仲潢無夷
南呂宮南蕤姑汏007
註 007 대(汏): 저본에는 태(汰)로 되어 있으나 남려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대(汏)로 교정한다. 이하 남려궁 선율에 보이는 태는 모두 대로 교정한다.닫기
應汏蕤姑 夷蕤浹汏 蕤姑南應 南蕤應南 夷蕤南汏 應南蕤姑 蕤汏應南
無射宮無林仲汰 潢008
註 008 황(潢): 저본에는 황(黃)으로 되어 있으나 무역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한 옥타브 위의 황(潢)으로 교정한다.닫기
汰林仲 南林姑汰 林仲無潢 無林潢無 南林無汰 黃無林仲 林汰潢無
應鍾宮應夷蕤浹 汏009
註 009 대(汏): 저본에는 태(汰)로 되어 있으나 응종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대(汏)로 교정한다. 이하 응종궁 선율에 보이는 태는 모두 대로 교정한다.닫기
浹夷蕤 無夷仲浹 夷蕤應汏 應夷汏應 無夷應浹 汏應夷蕤 夷浹汏應
送夾鍾宮夾南無仲 仲林潢無 夾潢仲林 夾潢仲夾 汰潢南林 潢夾林仲 南林潢無 潢林仲夾
送林鍾宮林汏010
註 010 대(汏): 저본에는 태(汰)로 되어 있으나 송임종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대로 교정한다.닫기
汰南 南應姑汰 林姑南應 林姑南林 蕤姑汏011
註 011 대(汏): 註 001과 같다.닫기
應 姑林應南 汏012
註 012 대(汏): 註 001과 같다.닫기
應姑汰 姑應南林
送黃鍾宮黃蕤林太 太姑南林 黃南太姑 黃南太黃 應南蕤姑 南黃姑太 蕤姑南林 南姑太黃
註 001
대(汏): 저본에는 태(汰)로 되어 있으나 태주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반음 아래 음인 汏로 교정한다.
註 002
대(汏): 註 001과 같다.
註 003
대(汏): 註 001과 같다.
註 004
대(汏): 註 001과 같다. 이하 고선궁(姑洗宮) 선율에 나오는 태(汰)는 모두 그보다 반음 아래 음인 대(汏)로 교정한다.
註 005
대(汏): 저본에는 태(汰)로 되어 있으나 유빈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반음 아래 음인 대(汏)로 교정한다. 이하 유빈궁 선율에 보이는 태는 모두 대로 교정한다.
註 006
대(汏): 저본에는 태(汰)로 되어 있으나 임종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대(汏)로 교정한다.
註 007
대(汏): 저본에는 태(汰)로 되어 있으나 남려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대(汏)로 교정한다. 이하 남려궁 선율에 보이는 태는 모두 대로 교정한다.
註 008
황(潢): 저본에는 황(黃)으로 되어 있으나 무역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한 옥타브 위의 황(潢)으로 교정한다.
註 009
대(汏): 저본에는 태(汰)로 되어 있으나 응종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대(汏)로 교정한다. 이하 응종궁 선율에 보이는 태는 모두 대로 교정한다.
註 010
대(汏): 저본에는 태(汰)로 되어 있으나 송임종궁의 아악선율에 따라 대로 교정한다.
註 011
대(汏): 註 001과 같다.
註 012
대(汏): 註 001과 같다.
항목 상세보기 원본이미지
社稷
迎神, 順安林鐘宮·蕤賓宮·應鐘宮·蕤賓宮。奠幣, 肅安應鐘宮 ○ ‘坤厚載物, 其大無外。立我蒸民, 萬世永賴。有儼其壇, 有椒其馨。惟恭奉幣, 我祀孔明。’。進饌, 雍安太簇宮。初獻, 壽安應鐘宮 ○ 國社, ‘至哉坤元, 克配彼天。含弘光大, 萬物載焉。克禋克祀, 式禮莫愆。降福簡簡, 於萬斯年。’ 國稷, ‘誕降嘉種, 務玆稼穡。百穀用成, 群黎徧德。我祀如何, 其儀不忒。有相之道, 介以景福。’。文舞退, 武舞進, 舒安太簇宮。亞獻·終獻, 壽安太簇宮。徹籩豆, 雍安應鐘宮 ○ ‘謂地蓋厚, 品物咸享。稼穡惟寶, 永觀厥成。徹我籩豆, 祀事孔明。綏以多福, 壽考攸寧。’。送神, 順安送林鐘宮
항목 상세보기 원본이미지
○ 風雲雷雨
迎神, 元安夾鐘宮·姑洗宮·南呂宮·大呂宮。奠幣, 肅安大呂宮 ○ ‘城南有壇, 祀事孔明。俎豆旣陳, 黍稷其馨。樂具入奏, 磬管鏘鏘。惟恭奉幣, 神其降康。’。初獻, 壽安大呂宮 ○ 風雲雷雨, ‘天施地承, 品物以生。風雲雷雨, 品物流形。無失其時, 澤我蒸民。以享以祀, 福祿來臻。’ ○ 山川, ‘有山斯峻, 維邦之鎭。有水斯瀰, 維邦之紀。産祥降瑞, 介以繁祉。洋洋來格, 歆我明祀。’○ 城隍, ‘惟此城隍, 襟抱于國。薦之時祀, 旣齊旣稷。神其降康, 俾我壽臧。宗社綿綿, 彌億萬年。’。文舞退, 武舞進, 舒安黃鐘宮。亞獻·終獻, 壽安黃鐘宮。徹籩豆, 雍安大呂宮 ○ ‘禮儀旣備, 罄無不宜。有踐籩豆, 載徹不遲。孔惠且時, 神具醉飽。如期如式, 綏我純嘏。’。送神, 元安送夾鐘宮
항목 상세보기 원본이미지
○ 先農
迎神, 景安黃鐘宮·仲呂宮·南呂宮·夷則宮。奠幣, 肅安南呂宮 ○ ‘揉木爲耒, 播穀蒸民。永維惠我, 載虔禮神。玉帛交錯, 禮儀肇伸。有孚顒若, 豊祥荐臻。’。進饌, 雍安姑洗宮。初獻, 壽安南呂宮 ○ 正位, ‘肇分草實, 於穆聖智。百穀用成, 繄誰之賜。酌彼康爵, 酒多且旨。神具醉止, 介以繁祉。’ ○ 配位, ‘播時百穀, 功配于天。其從與享, 昭格蒸然。洗爵奠斝, 式禮莫愆。神嗜飮食, 迄用康年。’。文舞退, 武舞進, 舒安姑洗宮。亞獻·終獻, 壽安姑洗宮。徹籩豆, 雍安南呂宮 ○ ‘淸酤惟馨, 嘉牲孔碩。禮成樂備, 人和神悅。旣右享之, 籩豆維徹。永觀厥成, 率履無越。’。送神, 景安送黃鐘宮
항목 상세보기 원본이미지
○ 先蠶
迎神, 景安黃鐘宮·仲呂宮·南呂宮·夷則宮。奠幣, 肅安南呂宮 ○ ‘儼乎其臨, 惟神之位。奉幣惟寅, 禮儀旣備。孔惠孔時, 或將或肆。神其降康, 歆我祀事。’。初獻, 壽安南呂宮 ○ ‘公桑蠶室, 振古如玆。民受其賜, 維德之施。報功以祀, 式禮攸宜。洞酌行潦, 以祈格思。’。文舞退, 武舞進, 舒安姑洗宮。亞獻·終獻, 壽安姑洗宮。徹籩豆, 雍安南呂宮 ○ ‘籩豆有踐, 祀事孔明。禮成三獻, 樂奏九成。神旣燕喜, 終和且平。載徹不遲, 萬福來寧。’。送神, 景安送黃鐘宮
항목 상세보기 원본이미지
○ 雩祀
迎神, 景安黃鐘宮·仲呂宮·南呂宮·夷則宮。奠幣, 肅安南呂宮 ○ ‘赫哉明神, 克配彼天。佑我蒸民, 於萬斯年。聿修祀事, 承筐是將。庶幾佑之, 惠我無疆。’。初獻, 壽安南呂宮 ○ 句芒。‘皇矣至德, 司春布仁。三農攸始, 萬寶更新。旣齊旣稷, 行潦斯陳。諒我明信, 立我蒸民。’ ○ 祝融。‘正位乎南, 司火之精。載行夏令, 品物光享001
註 001 향(享): 원문에는 향(享)으로 되어있으나, 세종실록에는 향(亨)으로 되어있다.닫기
。大哉神功, 萬世仰成。是用享祀, 庶幾來寧。’ ○ 后土。‘於昭厚德, 承天和光。實成庶物, 惠我無疆。以享以祀, 磬管鏘鏘。庶其格思, 降福穰穰。’ ○ 蓐收。‘利物之德, 實主西成。茨梁坻京, 惟賴神明。聿修禋祀, 黍稷惟馨。洋洋在上, 以赫厥靈。’ ○ 玄冥。‘氣應於冬, 位居乎北。終始品物, 聿貞厥德。籩豆旣踐, 庸鼓有斁。來燕來寧, 登我百穀。’ ○ 后稷。‘播時百穀, 立我蒸民。功配于天, 駿惠後人。載謀載惟, 庸蕆002
註 002 천(蕆): 원문에서는 천(蕆)으로 되어있으나, 세종실록에는 전(展)으로 되어있다.닫기
明禋。庶右享之, 降福惟純003
註 003 순(純): 원문에서는 순(純)으로 되어있으나, 세종실록에는 순(醇)으로 되어있다.닫기
。’
。文舞退, 武舞進, 舒安姑洗宮。亞獻·終獻, 壽安姑洗宮。徹籩豆, 雍安南呂宮 ○ ‘惟神之德, 兆民賴之。籩豆靜嘉, 是享是宜。神具醉止, 廢徹不遲。報以介福, 如式如期。’。送神, 景安送黃鐘宮
註 001
향(享): 원문에는 향(享)으로 되어있으나, 세종실록에는 향(亨)으로 되어있다.
註 002
천(蕆): 원문에서는 천(蕆)으로 되어있으나, 세종실록에는 전(展)으로 되어있다.
註 003
순(純): 원문에서는 순(純)으로 되어있으나, 세종실록에는 순(醇)으로 되어있다.
항목 상세보기 원본이미지
○ 文宣王
迎神, 凝安黃鐘宮·仲呂宮·南呂宮·夷則宮。奠幣, 明安南呂宮 ○ ‘自生民來, 誰底其盛。惟王神明, 度越前聖。粢幣俱成, 禮容斯稱。黍稷非馨, 惟神之聽。’。進饌, 豊安姑洗宮。初獻, 壽安南呂宮 ○ 正位。‘大哉聖王, 實天生德。作樂以崇, 時祀無斁。淸酤惟馨, 嘉牲孔碩。薦羞神明, 庶幾昭格。’ ○ 兗國公。‘庶幾屢空, 淵源深矣。亞聖宣猷, 百世宣001
註 001 선(宣): 원문에서는 선(宣)으로 나오나, 세종실록에서는 의(宜)로 나온다.닫기
祀。吉蠲斯辰, 昭陳樽簋。旨酒欣欣, 神其來止。’ ○ 郕國公。‘心傳忠恕, 一以貫之。爰述大學, 萬世訓彝。惠我光明, 尊聞行知。繼聖迪後, 是享是宜。’ ○ 沂國公。‘公傳自曾, 孟傳自公。有嫡緖承, 允得其宗。提綱開蘊, 乃作中庸。侑于元聖, 億載是崇。’ ○ 鄒國公。‘道之由興, 於皇宣聖。惟公之傳, 人知趍002
註 002 추(趍): 원문에서는 추(趍)로 나오나, 세종실록에서는 추(趨)로 나온다.닫기
正。與享在堂, 情文實稱。萬年承休, 假哉天命。’
。文舞退, 武舞進, 舒安姑洗宮。亞獻·終獻, 成安姑洗宮。徹籩豆, 娱安南呂宮 ○ ‘犧象在前, 籩豆003
註 003 변두(籩豆): 원문에는 변두(籩豆)로 나오나, 세종실록에는 두변(豆籩)으로 나온다.닫기
在列。以享以薦, 旣芬其潔。禮成樂備, 人和神悅。祭則受福, 率遵無越。’
。送神, 凝安送黃鐘宮
註 001
선(宣): 원문에서는 선(宣)으로 나오나, 세종실록에서는 의(宜)로 나온다.
註 002
추(趍): 원문에서는 추(趍)로 나오나, 세종실록에서는 추(趨)로 나온다.
註 003
변두(籩豆): 원문에는 변두(籩豆)로 나오나, 세종실록에는 두변(豆籩)으로 나온다.
항목 상세보기 원본이미지
맨 위로